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 스노브 효과 차이

베블런은 사회적으로 위치가 높은 상류층의 두드러진 소비를 보면서 자신의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현실적인 부분을 판단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일부 사람들은 자신의 허영심, 과시욕을 자랑하기 위해서 비싼 물건을 구입하기 때문에 가격이 올라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때도 있다.

이렇게 돈과 재산이 많은 사람들이 명품 소비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베블런 효과라고 말하며 하류층까지 짝퉁 소비로 이어지기도 한다.

경제이론 중에서는 수요와 공급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해야 가격과 거래량이 결정된다고 하지만 이와 반대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이번 시간에는 베블런 효과의 간단한 설명과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개요

베블런 효과 / veblen effect

노르웨이계 미국 사회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소스타인 베블런은 1899년 《유한계급론》 책을 출간하여 사치와 방탕한 생활을 일삼는 미국의 부자들을 비판한다.

그는 상류층의 두드러진 소비는 자신들의 성공과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자각 없이 행해진다고 말하며 물질만능주의, 유한계급에 대한 비평을 이어간다.

허영심이 많은 사람들은 고가의 물품을 선호하는데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증가하지만 값이 떨어지면 누구나 구입할 수 있다는 이유로 구매를 하지 않는다.

누구나 선호할만한 디자인과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가격이 높으면 장해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소유하는 것은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대 백화점이나 쇼핑몰에서 상류층 고객을 대상으로 벌이는 VVIP 마케팅이 등장했으며 지금까지 이어지는 중이다.


스노브 효과(snob effect)

쉽게 구하기 어려운 명품을 보면 사고 싶다고 생각하는 과시적 소비를 의미하는 스노브 효과(속물 효과)는 베블런 효과와 비슷한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스노브 효과는 남들과는 다르게 보이고 싶은 과시욕을 가지고 있지만 특정 제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 재화의 소비를 줄이거나 중단하게 된다.

이들은 과시적 소비뿐만 아니라 차별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타인과 다르게 보이고 싶은 심리를 반영한다고 하여 백로 효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예시

베블린 효과
베블린 효과

①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전체적인 거래가 줄어든 반면 다양한 편의 시설과 명품 가구가 배치된 럭셔리 주거공간, 최고급 아파트의 분양률은 높아지는 중이다.

② 에르메스, 샤넬, 루이비통 같은 명품 브랜드는 비쌀수록 잘 팔리는 베블런 효과 덕분에 수시로 가격을 높여서 이익을 챙기고 있다.

③ 차량 가격, 보험료, 수리비가 비싼 수입차의 경우 과거에는 가성비 좋은 모델이 인기를 끌었지만 요즘은 1억이 넘는 차량의 판매량이 증가하는 추세다.

④ 그는 술을 좋아하는 편이 아니고 맛을 잘 모르지만 사람들과 음주를 할 때는 소주나 맥주는 먹지 않고 비싼 양주를 주문해서 먹는다.

⑤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고급 시계 브랜드는 롤렉스로 평가받고 있지만 진짜 부자들은 세계 최고라고 평가받는 파텍필립을 비싼 가격에 구입한다.

⑥ 과거에는 본질적인 기능만 제공하던 안마의자 제품들이 요즘에는 가격은 비싸지만 슈퍼카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출시하고 큰 인기를 끌고 있다.

⑦ 간단하게 집 근처에 있는 동산을 산책하는 수준이지만 남들에게 보이는 이미지 때문에 모든 장비를 최고급 브랜드로 구입했다.

⑧ 최고 사양을 자랑하는 플래그십 한정판 모델을 출시하면 항상 매진을 기록하는 이유는 누구나 구입하지 못하고 가질 수 없는 매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⑨ 베블런 효과를 위해 현대 자동차는 제네시스라는 프리미엄 브랜드를 따로 분리했으며 1억에 육박하는 가격으로 차량을 판매했지만 한동안 품귀현상을 겪었다.

⑩ 일부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은 억단위가 넘는 제품을 만들기도 하는데 베블런 효과로 초고가 제품들도 수요가 있기 때문에 마케팅을 펼치기도 한다.

⑪ 현대에 들어서는 출산율이 낮아지면서 유아용품 시장이 줄어들고 있지만 프리미엄 장난감, 유기농 제품을 취급하는 기업들은 반대로 증가하는 중이다.

⑫ 설날이나 추석이 다가오면 일시적으로 물가가 올라서 부담스럽지만 명품 굴비, 명품 한우세트같이 오히려 비싼 선물을 찾아서 구입하는 경우도 있다.


베블런 효과를 욕하는 분들이 많은 편인데 개인적으로 돈이 없는데 사치를 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지만 있는 사람이 쓰는 것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치를 부릴 만큼은 아니더라도 가끔은 flex 하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