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COVID-19) 백신의 항체가 떨어지면서 부스터 샷이 도입되는 요즘 글쓴이는 최근에서야 화이자 백신 접종을 2차까지 무사히 마쳤다.
인터넷에 화이자, 모더나 부작용을 검색하면 부작용에 대한 내용이 많아서 걱정했는데 너무 멀쩡해서 오히려 항체가 제대로 생긴 건지 찝찝한 기분이 든다.
1차에 이어서 2차 백신을 접종할 때도 별다른 이상 증세가 없어서 오죽하면 회사에서 아프면 유급휴가를 쓰라고 했지만 너무 멀쩡해서 출근을 했다.
전문가들은 젊을수록 백신 항원이 체내에 들어갔을 때 이를 대처하기 위한 반응이 더욱 강하기 때문에 통증이 심하고 노인의 경우 부작용이 덜한 편이라고 한다.
하지만 사람의 체질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100% 신뢰하기는 어려운 주장이다.
1. 부작용 원인

기존의 백신이 무력화된 항원을 투여하는 방식으로 면역을 만든다면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RNA 백신으로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를 RNA 형태로 투여하게 된다.
쉽게 설명하면 코로나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는 설계도를 우리의 몸속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백신 스스로 스파이크 단백질을 형성하고 항체를 만들어 낸다.
화이자, 모더나 백신을 접종 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1차보다 2차가 아프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그 이유는 두 번의 접종이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두 번째 접종은 처음보다 더욱 강한 부작용을 경험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은 신체가 정상적으로 면역력을 생성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1차 접종
우리의 인체에 코로나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설계도를 주입하는 과정으로 지질 나노입자로 코팅된 mRNA 백신은 몸에 들어가면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림을 그리기 위해 밑바탕을 스케치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코로나 바이러스를 방어하는 수준이 떨어지며 통증 또한 2차에 비해서 약한 편이다.
2차 접종
1차 접종 당시에 몸에 주입했던 설계도에 따라서 항체를 형성하는 단계로 우리의 몸이 코로나바이러스와 계속 싸우는 것처럼 속이기 때문에 면역반응이 높아진다.
항체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주사를 맞은 부위나 온몸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며 감기에 걸렸을 때 증상이 틀린 것처럼 부작용의 수준도 달라질 수 있다.
체질에 따라서 1차 접종의 통증이 심하다는 분들도 계시기 때문에 무조건 2차 접종의 부작용이 더 크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2. 통증에 따른 효과
코로나 백신을 인체에 투여하면 해로운 바이러스를 몰아내기 위해 계속해서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쉽게 피곤해지고 근육통, 발열, 두통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작용은 신체가 코로나 백신을 받아들이고 몸에 항체를 만들면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에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통증이 없거나 너무 심한 분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제대로 생겼는지 궁금하게 생각하실 텐데 일반적인 백신은 통증이 클수록 효과가 높다고 한다.
하지만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통증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가 같은 면역반응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노인과 젊은 사람 모두 비슷한 수준을 보여줬다.
통증의 강도에 따라서 코로나19 면역력이 더 생기지는 않는다.
3. 2차 부작용 후기
- 두통, 근육통, 발열, 오한, 호흡곤란, 부종, 두드러기, 피로감, 메스꺼움, 미각 후각 상실, 기침, 안구 충혈, 피부변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3~4일 뒤 좋아진다.
① 주사를 맞고 나서 10분 정도 지나자 주사를 맞은 팔에 피가 빠지듯 싸한 느낌이 들더니 머리가 어지러워서 누웠더니 점차 상태가 괜찮아졌네요
② 처음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팔이 무거워지고 머리의 통증을 느껴서 이부프로펜 계열의 약을 먹었더니 이후에는 괜찮아졌습니다.
③ 저는 주사를 맞은 부위를 누군가 몽둥이로 때린 것처럼 아파서 걱정했지만 이틀 정도 지나니까 별다른 증상이 없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④ 접종을 하고 하루가 지나자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올라서 타이레놀을 먹고 차가운 바람을 쐤더니 2시간 이후에는 열이 내려서 약간의 근육통만 남았네요
⑤ 부작용이 없길래 무거운 짐을 드는 일을 했는 데 몸살감기에 걸린 것처럼 문제가 생겨서 한참을 고생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⑥ 왼쪽 팔이 뻐근하고 움직임이 둔해졌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열이 오르는 것이 느껴졌는데 저와 같은 날에 접종했던 사람들은 이렇게 심한 부작용이 없었다고 합니다.
⑦ 침대에 식은땀이 젖을 정도로 3일 동안 몸살이 너무 심하고 운동을 조금만 해도 금방 피로감이 몰려와서 힘들었네요
⑧ 거의 일주일 동안 편두통과 목 뒤쪽의 근육통으로 고생했는데 관자놀이만 만져도 통증이 심해서 매일 타이레놀을 먹어야 했습니다.
⑨ 백신을 접종한지 1일차에는 약간의 근육통과 미열만 있었고 이틀이 지나자 심장 근처의 통증 때문에 불안했지만 컨디션이 나쁜 것 빼고는 괜찮았습니다.
⑩ 소화가 잘 안되고 속 쓰림 증상이 발생하고 차에만 타면 멀미 증상이 심했는데 주변에는 이런 사람이 없었지만 인터넷을 찾아보니 꽤 많이 겪는 증상이었네요
⑪첫째 날에는 팔을 위로 올리면 소리를 지를 정도로 아프고 둘째 날에는 잠이 쏟아져서 고생했지만 삼일차에는 거의 부작용이 사라져서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했습니다.
⑫ 저는 화이자 1차 접종을 하면서 호흡이 곤란하고 두드러기가 심해서 병원에 갔더니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하면서 다시 같은 백신을 맞지 말라고 하네요
임상시험 데이터는 부족하지만 부스터 샷을 접종하는 경우 2차 접종과 부작용이 비슷한 편으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극히 드물다고 합니다.
아무쪼록 코로나가 빨리 종식돼서 마스크를 벗고 다니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