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리굴라 효과 뜻과 예시 – 반발 심리 이유

0
210

이상하게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은 생각이 드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전문용어로 칼리굴라 효과, 로미오와 줄리엣 효과라고 말한다.

우리는 하지 말라고 하는 일을 계속하거나 시킨 일을 반대로 행동하는 사람을 보고 청개구리라고 말하는데 왜 이런 심리가 발생하는 것일까?

위험해서 금지된 행위를 하거나 이미 결혼한 사람이 외도를 하는 것, 이상하게 억압하고 금기된 일일수록 더 하고 싶은 마음이 커진다.

칼리굴라 효과와 의미가 비슷한 단어로는 스트라이샌드 효과가 있는데 인위적으로 삭제, 검열하려고 시도하면 오히려 더 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1. 유래

1979년 미국의 보스턴에서 칼리굴라 황제의 생애를 그린 영화 Caligula를 제작했는데 잔혹하고 성적인 묘사가 많아서 논란이 되었다고 한다.

수위가 얼마나 높았으면 상영이 금지될 정도였으며 영화의 내용이 궁금한 사람들이 많아지자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관심을 끌게 된다.

심지어 영화가 궁금한 사람들이 보스턴에 올 정도였는데 이 사건을 계기로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은 현상을 칼리굴라 효과라고 부르게 되었다.

궁금해서 찾아봤더니 한국 영화관에 개봉할 정도의 수위를 넘는 수준이기 때문에 당시 왜 상영을 금지했는지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2. 예시

  • 상자를 열지 말라고 이야기하면 왠지 열고 싶은 마음이 든다.
  • 넌 못 할 거야 말을 들었더니 오기가 생겨서 열심히 하게 된다.
  • 내일 바쁘니까 일찍 자야지 생각을 하면 오히려 잠이 안 온다.
  • 이거 끝내고 자야 하는데 생각하면 이상하게 잠이 쏟아진다.
  • 억지로 공부를 하던 그는 대학생이 되자 공부는 뒷전이 되었다.
  • 살찌니까 그만 먹으라는 말을 듣고는 오히려 더 먹기 시작했다.
  • 친구가 짜증 내며 그만하라고 반응하니 이상하게 더 하고 싶다.
  • 애인이 스킨십을 하지 못하게 하자 하고 싶어서 괴로워졌다.
  • 절대 검색하면 안 되는 키워드를 봤더니 찾아보고 싶어진다.
  • 술을 그만 마시라는 친구의 말을 듣고는 한 병을 더 주문했다.
  • A의 칭찬을 늘어놓는 그녀의 모습을 보자 왠지 A가 싫어진다.
  • 내가 응원하던 그룹이 인기를 끌자 이상하게 관심이 떨어졌다.
  • 청소년은 술과 담배를 하면 안 된다는 말이 호기심을 자극한다.

인간은 남에게 설득당하는 것을 싫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그로 인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반대로 행동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3. 이유

심리학에서는 이런 식으로 뭔가를 하거나, 하지 말라는 말을 듣고 그 반대로 행동하고 싶은 심리를 반심리학, 역심리학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누군가 일을 시키고 전달받은 내용과 다른 행동을 보였을 때 어떤 상황이 발생하는지 궁금하게 생각하는 심리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명령을 하거나 전달하는 사람에 대한 거부감, 반발심으로 말에 따르지 않고 내 생각대로 하고 싶어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나에게 명령하는 사람의 위치가 나와 비슷하거나 차이가 없는 경우, 강압적이고 배려가 없을 때 반대 심리는 더욱 강해진다.

게다가 그 일을 했을 때 나에게 이득이 되는 부분이 하나도 없다면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반대로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심리를 역으로 이용해서 교육에 활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말에 불복종하는 것을 익숙하게 만들고 거짓말을 해야 하기 때문에 좋지 않다.


칼리굴라 효과는 대부분 나에게 손해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하지 말라고 하는 것, 억압에 대한 반발심으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심리적인 본능을 따르기 전에 이성적으로 생각해서 이 선택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