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구팽(兎死狗烹) 뜻과 유래 – ‘범려와 한신’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교토사양구팽(狡兎死良狗烹)의 줄임말 토사구팽은 도움이 필요한 시점에는 요긴하게 써먹지만 쓸모가 없어지면 냉정하고 야박하게 버리는 사람을 보고 자주 하는 말이다.

그래서 뒷글자 팽만 따서 팽 당했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하는데 현실에서 자주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지만 정확한 뜻과 유래에 대해서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거라 생각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에게 필요로 인해서 이용만 당하고 버려지는 사람이 생기고 있는데 이번 시간에는 토사구팽의 뜻과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토사구팽

토끼 토(兎), 죽을 사(死), 개 구(狗), 삶을 팽(烹)

Kill the dog after hunting is over.

토끼 사냥이 끝나면 개는 쓸모가 없으니 삶아 먹는다.

토사구팽
토사구팽

목적을 완수한 이후 토끼를 잡으려고 열심히 뛰어다닌 사냥개를 잡아먹는 뜻이기 가혹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단물만 쏙 빨아먹고 헌신짝처럼 버리는 상황을 의미한다.

누군가를 이용하고 내치는 상황뿐만 아니라 혼자 살 때는 외로워서 애완동물을 키우다가 나중에는 귀찮다는 이유로 버리는 분들이 많은데 이런 경우도 토사구팽으로 볼 수 있다.

유래

역사적으로 토사구팽의 사례는 많지만 정확한 유래는 중국 춘추시대 말기의 정치가 범려의 이야기를 다룬 <사기> 월왕 구천 세가에 등장한다.

초나라에서 태어난 범려는 월나라에서 춘추오패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구천을 섬기면서 그의 복수를 도와주고 오나라를 멸망시키는데 큰 공을 세우게 된다.

여기서 구천은 와신상담 끝에 오왕 부차에게 받은 치욕을 대갚음해 주고 월나라의 전성기를 열게 되었지만 말년에는 간신들의 중상모략에 빠져서 능력있는 신하들을 경계한다.

범려는 월왕 구천은 자신이 필요할 때는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하지만 쓸모가 없어지면 권위적이고 교만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공신들을 처단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모든 것을 이루고 절대 권력을 갖게 된 범려는 대부 문종을 찾아가서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는 법이니 자신과 함께 관직에서 물러나자고 말했지만 하였지만 문종은 이를 무시한다.

결국 문종은 반역을 꾀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떠돌면서 자결을 강요받고 목숨을 잃는다.

한편 관직을 버리고 잠적한 범려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사기에 따르면 그는 이름을 치이자피(鴟夷子皮), 도주공(陶朱公) 등으로 바꾸면서 평범하게 살았다고 한다.


토사구팽이라는 고사를 널리 퍼지게 만든 인물은 한신으로 그는 한고제가 항우를 꺾고 천하를 통일하는데 큰 공을 세우지만 왕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역을 이유로 팽 당했다.

果若人言 狡兎死良狗烹 飛鳥盡良弓藏 敵國破謀臣亡 天下已定 我固當烹

사람들이 말한 대로 교활한 토끼가 죽었으니 충성스러운 사냥개는 삶아버리고, 높이 나는 새들이 없으니 아무리 좋은 활이라도 쓰지 못하며 적을 무찌르니 계책을 생각하던 신하가 버림받네

천하가 평정 되었으니 이제 나도 삶아서 죽겠군


2. 예문

한 직장에서 열심히 일했지만 정년이 되기 전에 토사구팽 당했다.

든든한 동료였던 그가 부상을 입자 토사구팽 신세가 되었다.

선거를 할 때는 잘 챙겨주다가 당선이 되니 토사구팽 해버렸다.

기업이 책임져야 할 문제를 개인에게 떠넘기며 토사구팽 한다.

기술만 빼앗기고 토사구팽 신세가 되는 전문가들이 많은 편이다.

비슷한 사자성어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감탄고토(甘呑苦吐)가 있으며 반대는 의리를 지키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愛之重之(애지중지), 三顧草廬(삼고초려)가 해당된다.


개인의 이기심 때문에 주변 사람들과 조화롭게 지내지 못하는 사람은 신의 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토사구팽을 주의해야 합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군가에게 큰 도움과 이득을 가져다줬지만 필요가 없어졌다는 이유로 바로 버려지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그런 비극적인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