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는 다양한 특징과 방사선 차폐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자동차, 가전제품, 우주선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대체 물질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채굴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공해물질이 발생하고 노동자의 건강 문제도 있기 때문에 선진국보다는 노동자에 대한 인권 개념이 부족한 국가에서 생산이 이루어진다.
현재 중국이 전 세계 희토류의 90% 이상을 생산하며 물량 조절로 시세와 가격을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희토류 사용을 줄이려고 대체 소재를 개발하는 중이다.
BBC : 희토류에 대한 3가지 사실

1. EG
페라이트 자성 소재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기업으로 오래전부터 고급 산화철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의 TDG, 일본 TDK 등 우량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희토류를 대체할만한 희귀 금속을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바나듐, 몰리브덴을 제조, 판매하는 EG 메탈을 자회사로 두고 있기 때문에 희토류 관련주로 분류하는 중이다.
2. LG상사
최근 LG 그룹은 북한에 있는 희토류 등 자원을 개발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중에서도 LG상사는 해외에서 석탄이나 코발트 등 자원개발 사업을 통해 매출을 올리고 있다.
2012년에는 중국의 희토류 전문 기업인 바오강희토와 MOU 체결을 통해서 전기자동차나 풍력발전기 모터에 들어가는 고성능 희토류 자석을 연구, 생산을 진행한 경험이 있다.
3. 포스코엠텍
비철금속이나 철강 포장재를 취급하는 포스코의 자회사로 과거 포스코는 중국의 희토류 업체인 포두영신희토유한공사 지분 60%를 110억에 인수해서 경영권을 확보했다.
그리고 2012년에는 나인디지트와 리코금속을 흡수 합병해서 스마트폰이나 폐가전 제품에서 금이나 은, 희토류 등의 희귀금속을 추출하는 도시광산 산업에도 진출하고 있다.
4. 네패스신소재
반도체 보호 소재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희토류 공정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레어얼스 지분을 51% 취득했으며 국내에 희토류 공장을 건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2019년 4월 사업 목적에 국내외 희토류 자원을 개발하고 분리하는 정제사업, 희토류 원료 소재를 생산하고 판매, 그리고 희토류 관련 기술 컨설팅을 추가했다.
5. 노바텍
중국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희토류의 원재료 네오디뮴을 생산해서 삼성전자에 납품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베트남에 생산 거점을 마련해서 현지 조달을 진행하고 있다.
노바텍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구자석을 생산하고 있는데 그중에 희토류를 사용해서 만든 네오디뮴 자석(Nd-Fe-B)을 이용한 시장에도 진출한 상태다.
6. 삼화전자
오래전 고주파용 자성재료인 페라이트 코어를 생산해서 판매한다는 내용을 발표하면서 희귀금속이나 자원개발 관련주로 분류되며 희토류 재료에도 움직이고 있다.
비슷한 종목으로는 대원화성이 있는데 과거에 캐나다에서 몰리브덴 광산 사업을 진행했지만 현재는 중단한 상태이기 때문에 희토류 관련주라고 하기에는 조금 애매하다.
7. 혜인
자회사 혜인자원에서 경북 울진에 있는 몰리브덴 광산에서 희귀금속인 몰리브덴의 채굴을 진행했으며 연간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대했지만 매장량 부족으로 현재는 중단한 상태다.
하지만 남북 경제협력 관련 기업이기 때문에 북한의 자원시장이 열린다면 성장력이 클 것으로 판단해서 희토류 관련주로 분류하고 있다.
8. 유니온머티리얼
유니온의 종속회사로 희토류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평가받는 페라이트 마그네트를 생산하고 있으며 폐자원을 활용한 금속 산화물이나 신소재를 연구하는 기업이다.
그리고 비메모리 반도체 핵심기술을 개발했다는 뉴스 때문에 삼성 관련 찌라시에도 크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9. 티플랙스
현재 티타늄이나 몰리브덴, 텅스텐, 니켈 등의 특수 소재를 유통하는 기업으로 대북 광물 경협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에 희토류 관련 재료에 민감하게 반응을 한다.
하지만 북한에서 아직 개발되지 않은 희토류 자원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뉴스를 티플랙스에 엮었기 때문에 희토류보다는 납북 경협주로 분류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10. 쌍방울
2019년 5월 22일 다양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부랴트공화국 천연자원부와 지하원, 신재생 에너지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희토류 관련주가 되었다.
의류 및 내의류를 제조, 판매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어울리지는 않지만 이후 실적이나 뉴스를 보고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