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키우다 보면 괴로운 표정으로 털을 토해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헤어볼이라고 말하며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고양이가 헤어볼을 토하는 과정에서 폐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죽은 사례도 있기 때문에 고양이 사료에는 헤어볼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헤어볼이 생기는 원인과 줄이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번 시간에는 고양이가 털을 토하는 이유와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원인

고양이는 매우 청결한 동물로 자신의 몸을 혀로 핥으면서 깨끗하게 관리하는 그루밍을 하는데 돌기 모양의 혓바닥 때문에 털을 먹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몸 안으로 들어간 털은 변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너무 많이 섭취하면 식도나 소화관 안에 뭉쳐서 덩어리를 형성하며 고양이를 괴롭게 만들고 구토를 유발한다.
그래서 보리나 귀리의 새싹 같은 캣그라스나 서플메이트를 먹이는 등 식이섬유를 풍부하게 제공해서 장 내에 털이 머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헤어볼을 자주 토하는 것은 털이 자주 빠진다는 의미도 있지만 소화가 잘 안되거나 변비가 있다는 것을 반영하기 때문에 평소 건강을 잘 관리해 주도록 하자.
털갈이를 하는 시기에 헤어볼 횟수가 증가하며 단모종이 덜한 편인데 한 달에 1~2번 정도는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다.
2. 예방
사람도 그렇지만 구토를 자주 하면 식도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고양이 헤어볼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1) 빗질을 해준다.
가장 원초적인 방법으로 아깽이 시절부터 조금씩 자주 해주면서 적응하는 것이 좋으며 털을 머리부터 꼬리까지 빗으려고 하면 아프기 때문에 짧게 끊어줘야 한다.
고양이 털을 빗겨주는 것은 털이 자란 방향으로 얼굴, 등, 배 꼬리 순으로 이동하며 잘 살펴봐서 뭉쳐있는 곳은 가위로 잘라내고 조심하게 빗질을 해주는 것이 좋다.
장모종은 하루에 한 번, 단모종은 3~4일에 한 번씩 해주는 것이 좋은데 빗질에 대한 거부감이 생기면 반항을 할 수 있으니 천천히 아프지 않게 하려고 노력하자.
2) 영양제를 복용
인터넷에 검색하면 오메가3, 테라코트 같은 성분이 들어있는 고양이 영양제를 판매하는데 가격이 부담되는 분들은 맛보다는 가성비 제품 구입을 권장하고 싶다.
고양이에게 영양제를 먹이면 실제 털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엄청난 효과를 보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단순한 보조제 개념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여드름, 곰팡이, 진드기 등 고양이의 털을 빠지게 만드는 요인이 다양하고 스트레스 역시 탈모를 유발하기 때문에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3) 식이섬유 섭취
야생의 고양이들은 변비가 심해지면 주변의 털을 뽑아먹기도 하는데 집에서 키우는 분들은 캣그라스(귀리나 보리, 호밀 같은 곡물의 새싹)를 키우면 좋다.
소화가 잘 안되고 변비가 심한 고양이는 스스로 캣그라스를 먹기 때문에 앞서 말한 곡물의 새싹을 키우는 분들은 억지로 먹일 필요는 없다.
음식 중에서는 호박이 매우 좋은데 칼로리가 낮고 포만감이 높기 때문에 체중 감량에도 좋고 설사와 변비를 예방하며 헤어볼 배출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요즘 나오는 사료는 헤어볼에 좋은 성분이 들어있기 때문에 따로 영양제를 주지 않아도 되지만 걱정되는 분들은 테라코트를 구입해서 사료나 간식에 섞어서 주는 게 좋습니다.
고양이가 헤어볼을 자주 뱉어서 걱정되는 분들은 병원에서 진찰을 받고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좋으며 인터넷에서 본 방법을 해도 괜찮은지 문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