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퓰리즘 (대중주의)뜻 – 포퓰리스트 사례

0
3027

정치인들은 입법, 사법, 행정 등 국가 정치에 관여하는 자를 말하며 그중에서 대중의 의견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다수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사람을 포퓰리스트라고 한다.

포퓰리즘은 라틴어 포풀루스(Populus)에서 유래한 단어로 일부 엘리트, 기득권이 아닌 서민들을 위해 노력하지만 다수에게 참여와 지배를 강조하는 특징을 가진다.

때문에 포퓰리스트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대중적인 지지율을 높이기 위한 부분만 신경 쓰다 보니 생각지도 못한 문제를 발생시킬 때도 있다.

그렇다면 포퓰리즘이란 무엇일까? 이번 시간에는 포퓰리즘의 뜻을 이해하기 쉽도록 다양한 예문과 사례를 통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1. 개요

포퓰리즘, Populism, 大衆主義

엘리트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포퓰리즘은 러시아에서 발생한 19세기 농본주의적 급진 사상을 미국에서 받아들이고 발전시키면서 만들어졌다.

포퓰리즘을 우리나라 말로 순화하면 대중주의로 번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포퓰리스트라고 말할 수 있다.

보통 포퓰리스트는 소수의 집단이 다수를 통제하는 상황을 싫어하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이 사회적 강자들에게 가지고 있는 불만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기득권 정치세력과는 다르게 대중들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려고 노력하지만 단순히 지지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현대에 들어서는 포퓰리즘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오남용 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부정적이고 나쁜 이미지로 굳어지는 중이다.

한국에서는 포퓰리즘을 대중주의로 순화해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2. 단점

포퓰리즘은 소수가 아닌 다수를 위해 목소리를 높이는 것을 말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부정적인 뉘앙스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선거 때마다 서민을 위한 정치를 하겠다고 말하면서 대중에게 인기가 있으면 실현이 불가능한 정책이나 공약으로 만들어서 남발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중적인 인지도를 높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현실성이 없는 공약을 지키려고 무리하다 보면 국가,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으니 오히려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이 좋을지도 모른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45대 대통령 트럼프를 들 수 있는데 당료 중심의 정당이 아닌 그의 도전을 보면서 득권 정치에 실망했던 서민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된다.

그는 신흥국에서 오는 이민과 제품 수입을 막아서 미국의 저학력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지키고 임금을 높이겠다는 포퓰리즘 공약을 내세웠지만 결과는 만족스럽지 않았다.

역사적인 사례로 아랍권 민주화 운동 당시 중동의 독재 정권이 무너지고 민주화가 되었는데 다수의 이익을 위한 명목으로 소수, 약자를 탄압하기 시작했다.

3. 사례

포퓰리즘
포퓰리즘

선거철이 되면 매번 무상급식과 반값 등록금 이야기가 나온다.

능력은 부족하지만 대중들의 인지도를 쌓아서 경쟁에 승리했다.

대중적인 편견을 이용하여 소수자에 대한 증오와 폭력을 강요한다.

재정 상황은 고려하지 않고 정권 유지를 위해 복지 개선에 힘쓴다.

실현 불가능한 포퓰리즘 공약 남발로 오히려 이미지가 나빠졌다.

최저임금을 올려야 한다는 이야기는 포퓰리즘을 잘 반영한다.

포퓰리스트는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입버릇처럼 말한다.

민주주의에 포퓰리즘은 숙명적으로 따라다니는 그림자와 같다.

사형 제도 법안은 찬성자가 많을수록 포퓰리즘으로 활용될 수 있다.

서민들을 위한 공교육 투자를 했지만 수준이 떨어져 문제가 된다.

복지를 늘리자는 포퓰리즘은 좋지만 세금 폭탄을 맞을지도 모른다.

형벌 포퓰리즘은 강력한 처벌로 사건이 해결된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부패한 기득권, 선량한 시민이 포퓰리즘으로 자리 잡고 있다.

포퓰리즘으로 인한 대중적 편견으로 소수 집단을 탄압하기도 한다.

대중이 독재자를 지지하는 경우 포퓰리즘 독재가 탄생할 수 있다.


지키지 못할 약속, 사탕발림이라는 사실을 알고도 속는 사람들도 계속 반복되다 보면 믿지 않고 거부감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일부 정치인들 때문에 미래에도 포퓰리즘은 부정적 뉘앙스로 사용할 수 있지만 대중적으로 실현 가능성 있는 좋은 정책을 제시하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