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채와 채소 차이 – 채소는 우리말, 야채는 일본어?

2
7216

과일이나 곡식을 제외하고 식용이 가능한 식물을 채소, 혹은 야채라고 말한다.

그런데 오래전부터 야채(野菜 / やさい)는 일본식 한자어이기 때문에 순우리말인 채소를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존재한다.

글쓴이 역시 야채는 일본에서 건너온 단어라고 생각하여 거부감을 느끼고 채소를 쓰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입장은 어떨까?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야채의 어원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없고 일본식 한자어로 볼만한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본어로 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표준국어사전에는 야채와 채소를 동일한 의미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두 단어는 모두 같은 의미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 채소 : 식용을 위해 인위적으로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
  • 야채 : 들에서 자라는 나물, 채소를 일상적으로 부르는 말

1. 원인

채소는 맞고 야채는 틀리다는 인식은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채소를 써왔는데 일본은 야채(야사이·やさい)라는 말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야사이는 한국에서 쓰는 야채와 같은 한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위에서 말한 것처럼 일본식 한자어로 규정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과거에는 한글 맞춤법 검사기에 야채를 입력하면 일본식 표현이기 때문에 채소로 수정해야 한다는 경고 메시지가 뜨기도 했다.

공식적으로 야채와 채소는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식 한자어로 볼만한 근거가 없지만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 최근에는 부정적인 인식이 줄어들어 채소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로 야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2. 야생의 나물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독이 있는 나물을 먹어서 목숨을 잃은 사람이 발생하여 이름을 모르는 야채(野菜)는 먹지 못하게 하였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세종실록에서 말하는 야채는 사람이 재배하지 않고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 야생 나물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래서 야채가 일본식 한자어라는 사실을 부정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야채의 의미가 포괄적으로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사람이 밭에서 키우는 작물은 채소, 야생에서 자라는 나물은 야채를 쓰자는 의견도 있지만 본인이 편한 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글쓴이는 오래전부터 야채가 아닌 채소를 써야 한다고 말했기 때문에 하루아침에 인식이 바뀌지는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두 단어 모두 표준어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야채가 일본어라는 편견을 버리고 본인이 편한 단어를 쓰시길 바랍니다.

야채를 일본어라고 생각해서 개인적으로 쓰지 않는 것은 괜찮지만 남이 쓴다고 해서 기분 나빠하거나 지적을 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2 코멘트

  1. ‘시간이 흐르면서 포괄적으로 확장’ 운운하는 것은 ‘대중에 휩쓸려 끼워 맞추는 안이한 생각’은 아닐지.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