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쫒다 / 좇다 / 쫓아가다 / 집에서 쫓겨나다 / 쫓아내다 – 맞춤법 구분

0
15363

글을 쓰면서 자주 사용해도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은데 그중에서 꿈을 쫒다, 좇다, 쫓아가다, 쫓겨나다, 쫓아내다 등의 단어는 표준어를 알고 있어도 매번 틀리게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문서는 개인적으로 맞춤법을 익히기 위한 것도 있지만 많은 분들과 함께 공유하기 위해서 자세한 내용과 예문을 통해서 표준어를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쫓다

ㅈ 받침이 들어가는 쫒다의 경우 조선시대 성인 남성의 머리털을 위로 끌어올리는 상투를 죄어 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뜻은 없기 때문에 이것만 기억해 두면 헷갈릴 필요가 없습니다.

  • 특정한 대상을 잡기 위해 빠른 속도로 뒤를 따라가는 행위
  • 강압적인 행동을 통해서 어떤 대상을 잡거나 도망치게 한다.
  • 졸음이나 잡념이 몰려오지 않도록 물리치는 행위를 말함

예문

쫓다, 좇다, 쫓아가다, 쫒아내다,
쫓다, 좇다

얼룩말은 엉덩이에 붙은 파리를 쫓기 위해서 꼬리를 흔들었다.

시험 기간에 게임을 하고 싶다는 유혹이 들어서 잡념을 쫓았다.

혼나서 울고 있는 동생을 위로하기 위해 방에 쫓아 들어갔다.

야간 일을 처음 하기 때문에 잠을 쫓으며 찬물로 세수를 했다.

무당이 부적을 쓰는 이유는 귀신을 내쫓기 위해서라고 한다.

비슷한 의미의 단어로는 격퇴하다, 밀어내다, 쫓아내다 등이 있으며 반대의 뜻은 이끌다, 쫓기다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좇다

쫓다의 옛말로 상황에 따라서 비슷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헷갈리지만 물리적인 이동을 쫓다, 정신적인 이동은 좇다로 생각하면 조금은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목표나 이상, 행복을 이루기 위해서 노력하고 추구하는 행위
  •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따라간다.
  • 오래전부터 이어오던 규칙이나 관습을 받아들여 그대로 한다.
  • 밥과 함께 조치개로 먹는다. (기본적으로 딸려오는 것 = 반찬)

예문

조금씩 어두워지는 바다에서 노을이 지는 모습을 좇고 있었다.

군대에서 상사의 말을 거역할 수 없기 때문에 그대로 좇기로 했다.

그는 나이가 들자 행복이 아닌 돈을 좇던 자신의 인생을 후회했다.

다른 나라에 여행을 가면 그곳의 문화나 관습을 좇는 게 기본이다.

범인이라고 생각해서 그런지 계속 눈으로 좇으면서 살펴봤다.

그렇다면 부와 명예를 쫒다, 좇다 둘 중에 어떤 문장을 사용하는 게 맞는 것일까? 여기에서는 목표나 이상, 행복을 추구하는 의미인 부와 명예를 좇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쫓겨나다

회사가 어려워 지거나 일을 못해서 일자리나 직위를 박탈 당하는 경우, 혹은 공공장소에서 시끄럽게 하거나 남에게 피해를 줘서 다른 곳으로 강제로 옮겨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문

  • 그나마 추위를 피했던 곳에서 쫓겨나 방황하고 있다.
  • 술에 만취하고 난동을 부렸기 때문에 주인에게 쫓겨났다.
  • 모든 권력을 쥔 왕이었지만 자리에서 쫓겨나 초라해졌다.

글쓴이의 경우 ㅈ 받침의 쫒겨나다를 자주 사용했는데 국어사전에 없는 단어이기 때문에 오늘 이후로는 머리에서 지우려고 노력해야겠습니다.

쫓아내다

대상을 다른 곳으로 가게 하거나 특정 행위를 못하게 만드는 것으로 대상의 입장은 상관하지 않고 강제성을 띠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있는 곳에서 강제로 밖으로 내모는 행위를 뜻함
  • 강제적으로 직장이나 학교 같은 곳을 그만두게 만듦
  • 졸음이나 잡생각을 하지 않도록 정신을 차리는 행동

예문

퇴마사는 사람의 몸에 살고 있는 악령을 쫓아내려고 노력한다.

모든 슈퍼 히어로들은 악당을 쫓아내기 위한 힘을 가지고 있다.

잠을 쫓아내는데 가장 좋은 것은 찬물로 세수를 하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운영하는 음식점 앞에 누워있는 거지를 쫓아냈다.

아첨을 하는 간신을 옆에 둔 왕은 충언을 하는 신하를 쫓아냈다.

정리

흔적을 쫓다(O) / 흔적을 좇다(O)

진실을 쫓다(O) / 진실을 좇다(O)

잠을 쫓다(O) / 잠을 좇다(X)

사람을 쫓다(O) / 사람을 좇다(X)

꿈을 쫓다(X) / 꿈을 좇다(O)

돈을 쫓다(X) / 돈을 좇다(O)

목표를 쫓다(X) / 목표를 좇다(O)

명예를 쫓다(X) / 명예를 좇다(O)


ㅈ 받침의 쫒다, 쫒겨나다, 쫒아내다는 머리 속에서 삭제하고 쫓다, 좇다 2개의 단어에 대해서만 구분할 줄 알면 다음부터 올바른 표준어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부족하지만 유익한 시간이 되셨기를 바라며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