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병, 열사병 차이 – 더위 먹은 증상 치료하는 방법

0
321

날씨가 더워지면 햇빛이 강해서 조금만 움직여도 몸에서 열이 나고 땀이 흐르며, 체질에 따라서 버티지 못하고 쓰러지는 경우도 있다.

여름철에 무더위 때문에 탈진하는 경우를 더위를 먹었다고 하는데 정확히 어떤 증상을 말하는 것인지 모르는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한다.

여기서 흔하게 말하는 더위가 먹었다는 표현은 일사병을 의미하지만 열사병도 있기 때문에 두 가지를 구분해야 정확한 대처도 가능하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일사병과 열사병에 차이에 대해서 정리하고, 더위 먹은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1. 일사병

강한 햇빛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생기는 병으로 체온이 37~40도 수준으로 상승하며 중추신경에 이상은 없지만 심박수 증가, 탈수 증상 유발한다.

일사병에 걸리면 어지럼증과 두통을 유발하는데 과도하게 땀을 흘린 경우 몸에 수분 부족하기 때문에 노약자, 임산부는 위험할 수 있다.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을 모두 포함한 증상을 일사병이라고 부르며 서늘한 곳에 이동해서 수분을 공급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좋아진다.

열탈진 :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땀을 많이 흘리고 수분이 부족
열경련 : 과도한 활동으로 땀을 배출하고 전해질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
열실신 : 체온이 올라가면서 말초혈관 확장으로 혈액순환 문제 발생

2. 열사병

덥고 뜨거운 환경에서 체내에 쌓인 열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면 발생하는 증상으로 의식장애가 발생하며 헛소리를 하거나 환각 상태에 빠진다.

열사병은 신체 온도가 40도 이상으로 올가는 현상으로 쉽게 말하면 사람의 신체가 익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근육이 강직되고 운동 실조가 된다.

열사병은 탈수로 인한 구토, 설사뿐만 아니라 몸에 경련이 발생하고 의식이 흐려지기 때문에 빠르게 그늘진 곳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위험하다.

주로 온도가 높고 밀폐된 실외 공간에서 많이 발생한다.
온대 하우, 온난 습윤 기후 지역에서 열사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
주변 환경, 중추신경계 문제로 열을 배출하지 못한다.

3. 차이

원인

  • 일사병 : 햇빛에 많이 노출되어 과도하게 땀을 흘려서 발생
  • 열사병 : 습도,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환경에서 열을 배출하지 못함

증상

  • 일사병 : 체온이 37~40도로 상승하고 어지럼증, 구토, 심박수 증가
  • 열사병 :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상승, 의식을 잃고 구토와 설사 동반

대처

  • 일사병 : 서늘한 곳에 이동해서 수분을 보충하고 휴식을 취한다.
  • 열사병 : 서늘한 곳에 이동 옷을 풀고 젖은 수건으로 몸을 감싼다.

체온을 너무 빠르게 내리면 근육의 위축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사망에 이를 수 있으니 서늘한 곳으로 이동해서 천천히 체온을 낮추는 것이 좋다.


일사병을 방치하면 열사병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열사병이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높은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는 분들은 너무 곽 끼는 옷은 피하고 미리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면서 정기적인 휴식을 취하시길 바랍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