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ㄱㄸ(옳그떠) 뜻 – 활용 예시

0
8734

글쓴이는 시간이 날 때마다 개드립이라는 커뮤니티에 올라온 유머글을 보는 편인데 가끔 ㅇㄱㄸ라는 댓글이 달려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처음에는 중복된 게시물, 혹은 비슷한 내용의 글을 보고 이거 또? 라고 하는 줄 알았지만 뜻을 찾아보니 옳고 그름을 떠나의 줄임말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옳그떠는 왜 개드립에서 사용하는 유행어가 된 것일까?

1. 유래

  • 옳고 그름을 떠나 < 옳그떠 < ㅇㄱㄸ

유머 커뮤니티 사이트 개드립에 올라오는 글을 보면 자유롭게 운영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의외로 독재적인 스타일로 운영되는 곳이다.

운영자는 유저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은 최대한 피하면서 민감한 내용의 글을 쓰는 사람은 별도의 예고 없이 차단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ㅇㄱㄸ 역시 이런 운영방식 때문에 탄생하게 되었다.

2016년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소추가 결정되던 날 개드립에는 정치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글들이 무수히 쏟아지기 시작했다.

이에 개드립 운영자는 문제가 될만한 글들을 조용히 삭제하고 아이디를 정지하고 있었는데 나중에는 참다못해 짧은 공지사항을 올린다.

내용을 요약하면 가입한지 7일 이내의 유저가 정치 관련 글을 쓰거나 2개 이상의 정치 글을 쓰면 옳고 그름을 떠나서 삭제한다는 내용이다.

옳그떠에 해당하는 유저는 한 번 정도는 봐줄 수 있지만 그 이상부터 짧게는 1일에서 6개월 동안 아이디를 사용할 수 없도록 차단된다.

다만 개드립을 어느 정도 방문한 사용자가 어쩌다가 한 번씩 민감하지 않은 정치 관련 글을 쓰는 것은 허용한다.

2. 예시

1. 정치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글

2. 정치를 하는 인물이나 정당 등의 내용을 포함

3. 일반적으로 국내 정치인이 해당된다.

4. 정치인 사진을 올리는 경우

5. 지역감정을 유발하는 내용의 게시물

6. 노골적이거나 도를 지나친 내용

7. 직접 언급하지 않아도 연관/연상이 되는 경우

8. ㅇㄱㄸ에 해당하는 글에 댓글/추천을 함

유머사이트에서 정치 관련 글은 유쾌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찬성과 반대로 다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옳고 그름을 떠나서 제제하는 것이 현명하다.


ㅇㄱㄸ를 ‘이거또’로 알고 있었지만 ‘옳그떠’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기분이 좋은데 정치 관련 글이 유머가 되지 않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옳고 그름을 가리는 것은 중요하지만 유머 게시판에는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ㅇㄱㄸ에 해당하는 글은 정치/시사 게시판에서 봤으면 좋겠습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