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청소년, 청년, 중년, 노인 – 나이 기준

0
7544

집에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이 음식이나 약을 먹일 때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면 영아, 유아, 아동 기준을 말하는데 정확한 나이를 모를 때가 많다.

그리고 어린아이뿐만 아니라 성인의 경우도 청년, 노인을 구분하는 나이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어떤 기준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인간은 엄마 뱃속에 있는 태아기 시절부터 신생아, 영아, 유아, 아동, 청소년, 청년, 중년, 장년, 노년의 발달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렇다면 의학계에서는 인간 발달 과정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을까? 이번 시간에는 사람의 나이에 따라서 부르는 호칭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인간의 발달과정

1. 태아 (분만하기 전)

엄마 뱃속에 나오기 전 자궁에서 자라는 단계, 처음에는 단순한 세포 덩어리지만 신체에 필요한 조직이 만들어지는 배아, 이후 성장하는 태아의 단계로 발전한다.

2. 신생아 (출생 후 1개월)

엄마 뱃속에서 태어난 상태로 사회성이 없으며 몸을 가누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앞을 거의 보지 못하고 사물을 흑백으로 구분한다.

3. 영아 (1 ~ 24개월)

생일로 나이를 따지면 오차 범위가 크기 때문에 개월 수로 따지는 것이 좋으며 일상에서 부를 때는 아기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4. 유아 (생후 1년 ~ 만 6세 이하)

국어사전에서는 만 6세까지, 유아교육법에는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의 어린이를 유아로 분류하기 때문에 유치원생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5. 어린이 (만 6 ~ 12세)

아동, 소아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춘기가 시작되기 전, 법적으로는 18세 미만을 아동으로 보기 때문에 소아과는 청소년도 갈 수 있다.

6. 청소년 (만 9 ~ 18세)

대한민국에서는 법적으로 만 24세까지 청소년으로 규정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만 13세 ~ 19세, 의학적으로는 만 10세 ~ 만 18세 까지를 말한다.

7. 청년 (만 13 ~ 23세)

대한민국에서는 만 19세 이상인 사람을 성인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발달심리학에 따르면 13~23세까지를 청년기로 구분한다.

8. 중년 (30 ~49세)

25세를 기점으로 점차 신체적인 능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며 40세 중반부터는 쇠약해지는 구간이기 때문에 꾸준히 건강 관리가 필요하다.

9. 장년 (50 ~ 64세)

의학이 발달하고 평균수명이 높아지면서 장년의 나이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데 발달심리학자들의 말에 따르면 이 시기의 지능이 최고점에 달한다.

10. 노년 (64세 이상)

나이가 많아 보이면 노인이라고 할 수 있지만 연령 기준이 있으며 듣는 사람의 기분이 나쁠 수 있기 때문에 시니어, 어르신으로 말하기도 한다.

2. ICH 기준

많은 분들이 의약품을 사용할 때 나이 기준이 필요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의약품 연령 기준을 의약품국제조화회의(ICH)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다.

구분나이
신생아출생 ~ 28일 미만
영아28일 이상 ~ 24개월 미만
어린이24개월 이상 ~ 만 12세 미만
청소년만 12세 이상 ~ 만 19세 미만
노인만 65세 이상

식약청은 의약품을 허가, 심사를 위에 보이는 표 기준으로 연령을 적용하기 때문에 용법, 용량을 확인하는데 참고하자.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