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상과부(靑孀寡婦) 미망인 뜻 – 반대말은 홀아비

0
6752

남편이 죽어서 홀로 지내는 여자를 과부 또는 미망인(未亡人)이라고 하는데 과거에는 혼자 남은 여성들의 경제활동이 힘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인식도 좋지 않아서 힘들었다.

유교적인 관념이 희박했던 시절에는 과부가 재혼하는 것에 대한 제제가 없었기 때문에 일부 지역에서는 형이 죽으면 형수를 아내로 삼는 풍습이 존재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남편이 죽으면 따라서 목숨을 끊는 것을 최고로 손꼽았고 자식을 키우고 시부모님을 모시다 가면 두 번째라는 열녀가 등장한다.

현대에 들어서 과부는 법적으로 남편이 사망한지 6개월이 지나기 전에 재혼할 수 없었지만 2005년 3월 31일 민법이 개정되면서 재혼금지 기간이 없어졌다.

전쟁이나 사고로 젊은 나이에 남편을 잃고 홀로된 여성은 청상과부라고 하는데 현대에 들어서는 전쟁도 많이 없고 재혼이 많아지면서 사용 빈도가 낮아지는 추세다.

1. 과부

: 적을 과
婦 : 며느리 부

Widow

과부
과부

적을 과(寡)는 작고 약한 무언가 혹은 노인, 과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자를 자세히 보면 집안에 눈빛이 처량한 사람을 그려 넣은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홀아비에 비해서 과부가 많은 이유는 남자는 징병을 당해서 전쟁을 나가거나 일을 하면서 위험한 경우가 많고 평균수명도 여성보다 짧은 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우자를 잃은 사람을 생각하면 홀아비보다 과부를 먼저 떠올리게 된다.

이를 조금 더 순화시켜서 말하는 경우는 미망인이라고 부르는데 배우자가 죽었지만 함께 따라가지 못한 사람, 아직 죽지 못한 사람을 의미하기 때문에 과부와 차이가 존재한다.

과부를 완곡하게 이르는 말로 미망인을 쓰는 분들이 많지만 부정적인 인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타인에 이 말을 쓰는 것은 실례가 될 수 있다.

과부 : 남편을 떠나보낸 여인
청상과부 : 젊은 나이에 남편이 죽음
홀아비 : 아내를 떠나보낸 남자
미망인 : 죽지 않은 사람

2. 이야깃거리

① 고려시대

전쟁이 많던 시절로 재혼에 대한 거부감을 갖지 않았는데 오히려 일반 백성뿐만 아니라 귀족의 경우도 재혼을 당연하게 여기는 풍습이 존재했다.

그래서 고려 시대에는 공식적으로 왕의 부인으로 인정받은 후궁들 중에서 과부가 있었으며 재혼을 하면서 전 남편의 아이를 데려가는 일도 많았다.

부여의 경우 형이 죽으면 형수를 아내로 삼는 형사취수혼(兄死取嫂婚)의 풍습도 존재했으며 자식이 없으면 형대신 임신을 시켜 대를 잇기도 했다.

형사취수혼은 과부의 생계를 이어서 책임지고 장자 상속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행해졌지만 고려 후기 원을 통해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사라지게 된다.

② 조선시대

유교사상이 발전하면서 여성 최고의 미덕을 한 남자만 섬기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남편이 죽은 다음 재혼을 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평생 혼자 살아야만 했다.

심지어 아이와 시부모님을 모시며 사는 것도 좋지만 은장도로 수절하고 세상을 떠나면 국가에서 열녀문을 세워주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열녀가 자주 등장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름있는 가문에서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속이거나 몰래 결혼을 시키는 경우도 많았다.

그리고 정상적으로 혼인하기가 어려워 과부를 보쌈(납치혼)하는 풍습도 있었고 간혹 과부 본인이나 본인과 약속을 하고 보쌈을 하기도 했다.

③ 아랍국가

이슬람을 창시한 무함마드는 무려 14번이나 결혼을 했는데 그중에 한 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과부와 결혼을 했다고 한다.

지금도 아랍에서는 과부의 후견인이 되는 하렘이라는 제도가 존재하며 부인은 최대 4명을 둘 수 있지만 능력에 따라서 수천 명이 넘는 첩을 둔 사례도 있다.

이라크에서는 오래된 전쟁이 끝나고 수많은 여성들이 과부가 되었는데 취약계층을 돕는다는 일부다처제, 하렘 제도의 악용으로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

여성과 소녀들의 어려운 처지를 악용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유교적인 관념에 따라서 과부의 재혼이 당연시 여겨지거나 금기시되는 시절도 있었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크게 문제가 없는 행위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과부, 미망인 단어를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부정적인 이미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새로운 대체어가 나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