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살다 보면 한번 자신이 정한 의견을 바꾸지 않고 내세우며 우기는 고집불통인 사람들이 있는데 대화가 안 통하거나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오래전부터 고집이 세기로 유명한 성씨를 말할 때는 1위 안씨, 2위 강씨, 3위는 최씨를 손꼽지만 사실 세간에 떠도는 속설일 뿐 믿을만한 정보는 아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할 정도라면 무언가 이유가 있지 않을까?
어느 정도 공감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사람에 따라서 고집이 센 다른 성씨도 많고 유래를 보면 좋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재미로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한자에서 안(安)은 뿔이 하나, 강(姜)은 둘, 최(崔)는 세 개나 있기 때문에 뿔이 많을수록 고집이 세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1. 안씨
조선 세조 시대 순흥 안씨 가문은 충성스러운 절개를 지키다가 멸문지화를 당했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 사건으로 고집이 세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이 망한 다음 독립운동가로 활동하던 사람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안중근 의사를 시작해서 안씨성을 가진 사람들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안씨성을 가진 가문들은 전통을 이어가며 신념을 지키는 경우가 많다.
2. 강씨
고려 말의 충신 강회중은 조선의 태조가 여러 차례 벼슬을 권하지만 이를 거부하고 고려에 대한 의리를 지키면서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강씨 고집은 왕도 말리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는데 조선이 건국되자 이색과 함께 반란을 도모했다는 죄로 유배를 당하고 말았다.
강씨는 남자보다 여자가 진취적인 모습으로 더욱 고집이 세다고 한다.
3. 최씨
무너져가는 고려 왕조를 지킨 수호신으로 평가받고 있는 최영은 평생 나라를 위해 희생한 무신(武臣)으로 조선의 이성계와 대립하며 죽음을 맞게 된다.
그는 자신이 평생 탐욕을 가졌으면 무덤에 풀이 자랄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풀이 나지 않을 거라는 유언을 남겼는데 실제 풀 한 포기 자라지 않았다고 한다.
이를 가지고 최씨 앉은 자리에는 풀도 안 난다는 말이 생겨났다.

고집 센 성씨를 줄여서 안강최라고 부르는데 이는 경주시 “안강”읍에 살고 있는 ‘최”씨 고집의 줄임말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최씨 고집이 최고라는 말)
고집이 세다 = 성격이 더럽다는 인식이 강하지만,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굽히지 않고 주장하는 자존심, 신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아집과 구분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