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심장병 초기 증상 – 감기가 아니라 심근증, 폐수종일 수 있다.

0
15209

감기에 걸린 강아지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기침을 하는데 나이가 많은 강아지들은 심장질환으로 인해서 기침을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소형견을 키우는 분들이 많은데 10살이 넘는 노령견은 판막의 노화로 심장 기능에 이상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늦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화로 인해서 반려견의 심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완치가 어렵고 꾸준히 약물을 통해서 관리가 필요하며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초기 증상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1. 증상

의학적으로 심장은 좌심과 우심으로 나뉘는데 강아지는 대부분 좌심실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거나 심장이 비대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강아지 심장병
강아지 심장병

1) 기침을 한다.

심장에 문제가 있는 강아지들은 주로 밤이 되면 목에 무언가 걸린 듯이 기침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나이가 많은 반려견이 기침을 자주 한다면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2) 호흡이 증가

정상적인 강아지는 분당 30회 이하로 호흡을 하는데 1분에 30회 이상 호흡을 하면서 헥헥거리는 모습을 보여주면 심장병을 의심해 봐야 한다.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것을 1회)

3) 폐수종 의심

갑자기 호흡이 빨라지고 혀의 색깔이 하얗게 질리거나 청색으로 변하면 심장병으로 인해 폐의 압력이 높아지고 물이 나오는 폐수종을 의심할 수 있으며 급사 위험이 존재한다.

4) 금방 지친다

산책이나 운동을 할 때마다 금방 지치고 움직이는 것을 싫어하면서 계속 잠만 자려고 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심장 질환으로 호흡이 불편해서 그럴지도 모른다.

5) 갑자기 기절

심장에서 혈액을 보내는 양이 줄어들거나 호흡이 곤란해지면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가 있는데 평소 심장에 무리를 주는 행동을 줄이고 흥분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6) 심근증 위험

심장이 비대해 지거나 근력이 약해지는 심근증에 걸리면 혈액순환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온몸에 부종이 생기거나 복수가 차는 현상이 발생할지도 모른다.

7) 코골이 증상

나이가 많은 강아지들은 불규칙하게 호흡을 하거나 코골이가 심한 경우가 있는데 심장에 문제가 생겨서 혈액이 역류하고 기관지를 압박하면 이런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2. 치료

평소에 산책을 자주 하고 식이요법을 통해서 심장병을 예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심장에 문제가 생기면 병원에 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심장은 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장기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처음 병원을 방문하면 제대로 검사하는 것이 중요한데 종류가 많기 때문에 비용적인 부담이 큰 편이다.

청진기 / 방사선 / 심장 초음파 / 심전도 / ProBNP / Troponin / 혈압 / 신장 수치 등의 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약 30~5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간다.

증상이 심해서 수술이 필요한 경우 수백만 원의 비용이 들어가며, 대부분 심장병 자체를 치료하기보다는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심장약을 권장한다.

  • 수축제 : 심장 근육에 작용하며 혈액순환을 돕는다.
  • 혈압약 : 수축제로 인한 혈압 상승으로 낮추기 위함
  • 이뇨제 : 폐에 차있는 물을 빼주는 역할을 한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심장약 성분은 같지만 상황에 따라서 투여하는 비율이 달라지며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규모가 크고 경험이 많은 곳에서 치료받는 게 좋다.

가끔 강아지의 심장이 빠르게 뛰면서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빠른 대처를 위해서 24시간 운영하는 곳인지 체크하는 것도 중요하다.

3. 음식

강아지 심장병은 치료가 안되는 질병으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며 약을 먹는 것도 중요하지만 음식 관리에 신경을 쓰고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제로 챙겨야 한다.

1) 단백질

심장병에 걸린 강아지는 근육의 손실을 줄이고 심장박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단백질이 많고 칼로리가 높은 사료나 고기, 계란 북어국 같은 음식을 먹어야 한다.

지방이 많은 음식은 노령견의 중성지방 수치를 높이고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가끔은 곡물을 통해서 부족한 열량을 채우는 것이 좋다.

2) 오메가3

생선에 많이 들어있는 오메가3 성분은 강아지의 심장병뿐만 아니라 관절, 염증, 피부, 면역력 등 좋은 효과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료에 뿌릴 수 있는 오일 형태로 판매하고 있다.

3) 타우린

강아지는 타우린을 스스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사료에 타우린 성분이 들어있지 않는데 특정 문제로 타우린이 부족해지면 심장 근육에 문제가 생기는 심근증이 생긴다.

오메가3, 타우린, 카르니틴, 코엔자임 Q10같이 심장병에 좋지만 음식으로 섭취하기 어려운 성분은 종합영양제를 통해서 꾸준히 섭취를 해야 한다.

고품질의 단백질, 저지방, 적절한 수분 섭취는 강아지의 심장 근육의 손실을 막아주고 혈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심장병을 개선하는 치료 효과는 없다.


처음에는 사료, 간식, 용품에 들어가는 비용만 생각하다가 반려견의 나이가 많아지면서 건강에 문제가 생기고 병원에 다니기 시작하면 의료비가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때문에 금전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반려견의 건강한 노년을 위해서 평소에 식단을 잘 관리하고 꾸준한 산책을 통해서 심장병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